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안 지진의 원인과 피해 상황, 여진 가능성 및 차후 한반도 지진 예상

by 일상이건강한부자생활 2024. 6. 13.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발생한 규모 4.8 지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지역에서 전례 없는 지진 활동을 강조하고 함열 단층을 포함한 잠재적인 단층선에 초점을 맞춰 조사를 위해 신속하게 동원되었습니다. 초기 발견에도 불구하고 숨겨진 단층과 미래의 지진 위험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해당 지역의 향후 지진에 대비한 보호 노력이 강화됨에 따라 피해 평가 및 여진 발생을 포함한 여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부안 지진 제대로 파악하기

 

부안 지진 원인(전문가 의견)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지진이 발생한 직후, 대학 전담 연구팀이 현장에 신속하게 파견됐다. 그들의 주요 목적은 지진 활동의 원인이 되는 단층을 식별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조사를 돕기 위해 '이동식 지진계'가 즉시 설치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처음에 해당 지역에 그렇게 심각한 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단층이 이전에 확인된 적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예방 조치로 그들은 잠재적인 여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지진은 진원지 80㎞ 이내에서 규모 4 이상의 지진이 기록된 것은 처음이다.

진원지에서 북쪽으로 약 20km 떨어진 '함열단층'에 관심이 빠르게 쏠렸다. 이번 지진은 함열 단층의 움직임을 연상시키는 특징인 북동쪽의 육지 미끄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진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재해연구본부장에 따르면 1차 분석 결과 지진 원인으로 추정되는 단층선 2개의 방향과 기울기가 확인됐다. 이들 단층 중 하나는 함열 단층과 놀랄 만큼 유사하여 전문가들은 이 단층을 지진 활동의 잠재적 원천으로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관측에도 불구하고 함열단층은 지진의 진원지에서 다소 멀리 떨어져 있다. 따라서 2016년 경주지진과 유사하게 숨겨진 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남아있다.

추가 분석 결과 이번 지진은 한반도에서 가장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 중 하나로 알려진 옥천대 서쪽 끝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홍태경 교수는 옥천대의 지반이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지진이 취약한 지형에 숨겨진 단층선을 따라 발생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러한 발견을 토대로 전문가들은 이 지역에서 향후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그들은 지진 위험을 더 잘 이해하고 대비하기 위해 기존 단층에 대한 철저하고 체계적인 조사를 수행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부안 지진 원인1부안 지진 원인2
부안 지진 원인

 

부안 지진 피해 상황

 

지난 6월 12일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규모 4.8의 큰 지진이 발생해 지역 기반 시설이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오후 6시 기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시설피해가 129건으로 전보다 급증했다고 보고했는데, 부안에서 가장 많은(114건)이 발생했다.

보고된 피해 유형에는 창문 깨짐, 벽 균열, 내소사 등 유적지를 포함한 다양한 건물의 구조적 문제가 포함되었습니다. 특히 부안 문화유적에서는 6건의 피해 사례가 주목됐다.

지진은 넓은 지역에 걸쳐 감지되었으며, 다양한 지역에서 198건의 지진 활동이 보고되었습니다. 오후 2시까지 소방청은 315건의 흔들림 보고를 기록했다.

다행히 아직까지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지진에 대응해 재난본부에는 비상사태 1단계가 발령돼 위기경보가 '경계' 단계로 격상됐다. 이상민 장관은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인력을 파견해 부안 상황을 평가·관리했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이 부안군 남남서쪽 4㎞ 지점, 깊이 8㎞에서 발생해 올해 우리나라와 주변 해역에서 가장 큰 지진으로 기록됐다고 밝혔다.

인프라 손상을 신속하게 평가하고, 공공 안전을 보장하며, 잠재적인 여진에 대비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며, 인명과 재산에 대한 추가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 조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부안 지진 피해 상황1부안 지진 피해 상황2
부안 지진 피해 상황

 

부안 지진 여진 발생 현황


첫 지진 이후 오전 9시 50분까지 부안 일대에서 11차례의 여진이 약 1시간 24분간 지속됐다. 모든 여진은 규모 2.0 미만으로 기록되었습니다. 기상청 관계자는 “여진이 얼마나 더 발생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라고 말했다.

이번 지진은 올해 우리나라와 주변 해역에서 가장 큰 지진으로 기록되며, 1978년 기록 작성 이래 전라북도 내륙 지진 중 가장 강한 지진이다. 특히 이 기간 국내에서 기록된 지진 중 16번째로 강한 지진이다.

이전에 발생한 내륙 주요 지진으로는 지난해 강원도 동해시 인근에서 규모 4.5의 지진과 2018년 2월 경북 포항시 북구에서 규모 4.6의 지진이 있다.

 

행동요령1행동요령2
행동요령

 

차후 한반도 지진의 위험성

한국은 일본에 비해 지진 발생 건수는 적지만, 지진이 더 강해질 가능성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여전히 우려 대상이다.

안정된 유라시아판 내에 위치한 한국은 일본과 같은 지각 경계 지역에 비해 지진 활동이 낮다. 한국수력원자력 자료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22년까지 일본에서는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연평균 114.5회 발생한 반면 한국은 평균 0.3회에 그쳤다.

이러한 상대적 안정성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 대한 지진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규모 7.0에 달하는 더 큰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1978년 이래로 한국과 주변 해역에서 규모 4.5 이상의 지진은 28건에 불과해 빈도는 낮지만 잠재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차후 한반도 지진의 위험성
차후 한반도 지진의 위험성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는 한국에도 영향을 미쳐 스트레스 불균형으로 인한 지진 활동 증가에 기여했습니다. 홍태경 연세대 교수는 이번 사건으로 한반도가 약 3cm 넓어지고 지반이 약화돼 지진이 잦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학계에서는 규모 7.0의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거보다 훨씬 더 강한 지진이 일어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16년 9월 규모 5.8의 경주 지진은 지금까지 기상청이 기록한 가장 강한 지진이었습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은진 등 연구진의 최근 연구에서는 양산 단층대 등 단층대를 조사한 결과 단층 구간에 걸쳐 과거 동시 이동이 밝혀진 바 있다. 이러한 발견은 미래의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지진 대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결론적으로, 한국에서는 강한 지진이 자주 발생하지 않을 수 있지만 심각한 지진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 대비 노력, 지역 사회와 인프라에 대한 잠재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중 인식이 필요합니다.